[앵커]<br />전국 학교에서 집단 식중독이 발생하면서 식재료에 대한 정부의 긴급 점검이 이어지고 있는데요.<br /><br />서울 학교 급식 재료로 쓰일 농산물에 고농도 농약이 검출된 사실이 YTN 취재 결과 확인됐습니다.<br /><br />급식용 재료는 전량 회수됐지만 나머지 수백 kg의 농약 농산물은 이미 유통됐습니다.<br /><br />한동오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지난 17일, 서울 가락시장 경매장.<br /><br />쌈을 먹을 때 먹는 채소 치커리 266kg과 쑥갓 124kg이 소매상에게 판매됐습니다.<br /><br />서울시 보건환경연구원 검사 결과 여기에서 기준치의 2배를 웃도는 농약이 검출됐습니다.<br /><br />치커리의 경우 아이들이 먹는 학교 급식용으로 일부가 납품된 상황!<br /><br />서울시는 쑥갓과 급식용 치커리를 회수했지만, 일반 소비자에게 팔려나간 치커리 258kg의 행방은 찾지 못했습니다.<br /><br />[서울 가락시장 관계자 : 죄송합니다. 제가 답변드릴 게 아닌 거 같네요. 조금 곤란한 면이 있습니다.]<br /><br />지난 2일과 9일 가락시장에서 수거한 깻잎 150kg, 지난 3일 당귀, 지난달 31일 근대에서도 농약이 검출됐고 일부는 유통됐습니다.<br /><br />최근 3년 동안 부적합 농산물 7만 8천 kg을 유통시켜 감사원 지적을 받았던 서울시에서 왜 이렇게 농약 농산물 판매가 반복되는 걸까.<br /><br />시중에 판매되는 농산물 양이 방대해, 10% 이하의 물량만 표본 검사를 하기 때문입니다.<br /><br />농산물 판매 전 사전 검사는 전무하고, 사후 검사 역시 수거에서 검사까지 이틀 정도 걸리기 때문에 사실상 고농약 농산물을 미리 걸러낼 수는 없습니다.<br /><br />서울시는 농약 농산물이 유통된 날짜와 장소, 품목을 제대로 공개하지 않는 등 소비자들에게 고지조차 제대로 하지 않았습니다.<br /><br />[서울시 관계자 : 이력추적제가 돼야 하는데 소매가 이뤄져서 경매가 되면 그다음부터 도매시장에서 소매로 넘어가니까 그게 한계죠.]<br /><br />소비자들이 할 수 있는 대책이라고는 농산물을 깨끗하게 씻어서 먹거나 친환경 농산물을 찾는 것뿐이어서 시민들의 불안감만 더욱 커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YTN 한동오[hdo86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15_201608252205166721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유튜브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Ytb5SZ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